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7612

덤프버전 :

||


파일:Seoul7612-ElecCity.png
파일:su7612-efb.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61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612 노선도.png
기점[출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연희파크푸르지오)
[도착]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동(홍연2교.현대교통종점)
종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3가(영등포구청)
종점
첫차04:33기점
첫차05:10
막차23:40막차00:16
평일배차6~12분주말배차토요일 7~13분 / 공휴일 9~15분
운수사명현대교통인가대수18대(예비 1대)[1][2]
노선(연희파크푸르지오앞 → 홍연시장 →) 현대교통종점 - 명지대학교 - 백련시장 - 연희동자치회관 - 연희교차로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양화대교 - 선유도공원 - 선유고등학교 - 선유중학교 - 당중초등학교 → 교보앞 → 영등포구청 → 당중초등학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현대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9.97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에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때 신설된 노선으로, 구 139번 도시형버스(문래동 - 면목동)[3]를 대체하고자 신설되었다.

  • 2004년 10월 15일에 북가좌동, 남가좌동, 구. 성산회관 대신 백련시장, 연희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05년 4월 22일에 '영등포역 - 구로세무서 - 문래동우체국 - 국화아파트 - 롯데삼강 - 문래중학교 - 영문초교' 구간을 연장했다.

  • 2007년 1월에 합정역 회차 노선을 분리했다.


  • 2010년 8월 21일에 '당산동진로아파트 - 김안과병원 - 영등포시장 - 영등포역' 구간을 폐지하고 영등포구청역으로 단축되었다.서울특별시 공지사항

  • 2015년 2월 2일에 단축운행하던 차량 2대가 정상운행하는 차량으로 변경되어 운행횟수가 10회 증가하였다.관련 공문

  • 2015년 5월 6일에 홍연2교 막차가 23시 40분으로 10분 늦춰졌다.관련 공문

  • 2018년 8월 16일부터 일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감회폭이 크지 않아서 실질적인 배차간격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 공문

  • 2021년 6월 1일을 기해 2대가 감차되었다.[4] 이에 따라 운행 댓수가 평일의 경우 2대,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대씩 감편되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9회/10회/9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평일 4~8분/토요일 6~10분/공휴일 8~13분이었던 배차간격도 평일 5~10분/토요일 6~11분/공휴일 8~14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2년 6월 1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92분에서 91분으로 줄고, 그와 동시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편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는 173회/144회/125회에서 180회/150회/130회로 증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2년 8월 16일을 기해 1대가 감차되면서[5] 평일에 한해 운행 댓수가 1대 감축되었다. 아울러 인가 운행소요시간도 95분으로 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이 병행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80회/150회/130회 에서 165회/146회/126회로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배차간격 역시 평일 5~10분/토요일 6~11분/공휴일 8~14분에서 평일 6~12분/토요일 7~13분/공휴일 9~15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남가좌동과 연희동에서 제일 혼잡한 노선이다.

  • 차고지 내부에서는 승하차가 불가능하다.

  • 홍은2동, 남가좌동에서 홍대입구역으로 가는 수요가 굉장히 많다.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부터 꽉꽉 들어찬 사람들이 홍대입구역에서 대부분 내리고 양화대교 건너 영등포구로 갈 때는 한산하다. 대부분 합정역에서 타면 60%의 확률로 앉을 수 있고, 홍대입구역에서 타면 60%의 확률로 탈 수 있다고... 심지어 사람이 많은 시간대에는 영등포구청역에서부터 줄을 길게 서 있기도 한다. 게다가 당중초등학교 정류장에서 홍대역 방향으로 꽉꽉 채워서 가는 것도 덤. 명지대삼거리~홍대입구역 구간은 7734번이 동일하게 운행하지만 둘 다 혼잡하다. 7739번도 홍남교.서대문두바퀴환경센터~홍대입구 구간 내에선 대체노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서울시 노선 통틀어(마을버스 제외) 월간 가장 하차승객이 많은 정류장을 가지고 있다. 홍대입구역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대학 방학시즌이더라도 월간 11만명 이상이 여기에서 하차하는 걸로 집계된다. 실제로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에서부터 탄 사람들이 여기서 다 내린다. 순위는 간혹 변동이 있을 수 있으나, 항상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

  • 2008년 이전에는 공식 배차간격이 15분이었는데 출근시간대에는 30분까지도 벌어지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영등포-문래동 구간이 단축된 이후에도 영등포로터리의 정체로 인해 배차가 많이 벌어졌다. 그나마 영등포구청으로 단축된 이후엔 예전보다는 숨통이 트인 상황. 271번, 272번 못지않게 상당히 잘오는 노선이다.

  • 2020년 10월 26일부터 4대가 자전거 휴대 승차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단, 휠체어 이용자가 승차할 경우 자전거 이용자가 하차해야 하며, 휠체어 이용자가 승차하여 이동 중인 경우 차내에 자전거 반입이 불가능하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612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5,346명-
2014년14,772명▽ 574
2015년15,298명△ 526
2016년14,993명▽ 305
2017년15,046명△ 53
2018년14,362명▽ 684
2019년14,892명△ 530
2020년10,932명▽ 3,960
2021년10,552명▽ 380
2022년12,005명△ 1,453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612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교보앞
19166
영등포구청
19852
남부고용노동지청
19208
이상 회차 구간
당중초등학교
19207
당중초등학교
19206
선유중학교
19224
선유중학교
19223
선유고등학교
19222
선유고등학교
19221
선유도공원
19278
선유도공원
19277
합정역
14011
합정역
14012
서교동
14013
서교동
14014
홍대입구역
14015
홍대입구역
14016
연희동대우아파트
13147
연남동
14226
연희교차로
13148
연희교차로
13149
-연희3거리
13151
연희동자치회관
13223
연희동자치회관
13222
서대문구보훈회관
13225
서대문구보훈회관
13224
홍남교.서대문두바퀴환경센터
13227
홍남교.서대문두바퀴환경센터
13226
백련시장
13229
백련시장
13228
명지대사거리국민은행앞
13231
명지대사거리.우리은행
13230
-DMC센트럴아이파크아파트
13193
명지대
13194
명지대
13195
명지대삼거리
13196
명지대삼거리
13197
명지대입구.서울무용센터
13217
명지대입구.신원지벤스타
13258
-홍연2교현대교통종점
13216
-홍연시장
13206
홍연2교현대교통종점 · 연희파크푸르지오앞
13215 · 13205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40:48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761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15대 / 공휴일 13대 운행[2] 예비차량은 7019, 7611, 7713번과 공동으로 사용한다.[3] 당시 중부운수 노선[4] 감차분은 2대 모두 7713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5] 감차분은 7713번 증차분으로 이동하였다.